공간정보/한줄 팁(Tip)

한줄 팁 - 좌표 입힌 GeoTiff 파일 만들기

요긴소프트 2022. 1. 21. 05:35
728x90
반응형

공간정보는 크게 벡터형식과 래스터 형식으로 나뉩니다.

벡터 형식은 수학적 기하모형으로 물체의 위치와 형태를 좌표로 계산해 저장해 놓은 것이고, 래스터 형식은 사진과 같은 픽셀 단위로 위치와 형태를 저장합니다.

GeoTiff는 래스터 형식중 가장 많이 쓰이는 공간정보 저장을 위한 파일 포맷입니다. 다른 래스터 파일 포맷으로는 ecw, img, jpeg2000 등이 있습니다. 

GeoTiff 같은 래스터 파일과 일반 사진파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픽셀 단위로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 사진에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사진이 찍힌 위치에 대한 Point 위치정보(EXIF GPS Tags)지만, GeoTiff의 경우에는 각 픽셀이 정확히 어느 위치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일반 사진이나 tif 파일이지만 좌표계 정보가 빠져있는 파일에 좌표를 강제로 입히는 한줄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gdal_translate -co "BIGTIFF=YES" -of GTiff -a_srs EPSG:4326 -a_nodata -9999 -a_ullr 127.035597 37.046957 127.071988 37.022841 input.jpeg output.tif

 

GDAL 명령어 중 하나인 gdal_translate 라는 명령어로 입력된 사각 영역으로 GeoTiff 파일을 만듭니다(GDAL 설치 방법은 지난 글 참고).

 

한줄 팁 - ESRI Shapefile을 GeoJSON으로 변환하기

예전부터 벡터 공간정보 저장을 위한 Shapefile(쉐이프 파일)은 ESRI社에서 만든 포맷입니다. 이 파일은 하나의 파일이 아니라,  *.shp, *.shx, *.dbf, *.prj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world 쉐

yoginsoft.tistory.com

옵션을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co "BIGTIFF=YES" 4 Gb 이상 큰 파일 생성이 가능하게 합니다.
-of GTiff GeoTiff 파일 포맷으로 생성합니다.

-a_srs EPSG:4326 결과 파일의 좌표계를 지정합니다.
-a_nodata 사진의 빈공간 영역에 들어갈 데이터 값입니다(투명값 지정 등에 쓰임).

-a_ullr 사진이 위치할 사각영역 좌표를 입력합니다(ullr은 upper left,lower right입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 단지 배치도같이 좌표정보가 없는 이미지에 좌표를 입히면 아래 그림처럼 기존 지도와 중첩해서 볼 수 있습니다.

카카오 지도에 배치도 중첩

이 방법에 문제점이 있습니다. 문제는 배치도가 정북 방향이 아니면 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틀어져 보입니다.  그래서 보통 좌표가 없는 정사(Orthographic projection)영상에 좌표를 입힐 때 사용하고, 일반 이미지는 다른 방법으로 래스터화 시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