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내가 지도에서 터치한 곳의 공시지가를 확인하는 코드입니다. 이번 글도 이전 MapLibre 강좌와 이어집니다.
공시지가를 확인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국토교통부 브이월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OpenAPI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가져오는 내용은 선택위치의 지번주소와 공시지가, 공시지가 기준월을 브이월드 WFS 서비스를 통해 가져옵니다. 주요 코드부분은 맵이 준비가 되면(onMapReady), 맵 클릭 이벤트 핸들러를 등록해 줍니다.
맵 클릭 이벤트에서 해당 포인트의 경위도 좌표를 획득하고 브이월드 WFS 요청 URL을 생성합니다.
브이월드 WFS URL 요청문 설명 페이지를 참고하셔서 해당 구문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이 예제에서는 filter 구문을 활용해 WFS URL을 만들고 enCodeURIComponent로 인코딩 했습니다.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오픈API
WMS/WFS API 2.0 레퍼런스입니다. WMS/WFS API 2.0 레퍼런스입니다. WMS/WFS API 2.0 레퍼런스 WMS/WFS API 2.0 레퍼런스 WMS/WFS API 1.0 레퍼런스 WMS/WFS API 2.0 레퍼런스 WMS/WFS API 1.0 레퍼런스 소개 오픈플랫폼이 제공
www.vworld.kr
이렇게 만든 WFS URL을 브이월드로 요청하면 JSON 형태의 응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응답은 GeoJson 형태로 얻을 수 있고 FeatureCollection의 feature 정보중 properties에서 우리가 원하는 속성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번 예제에서는 Log에 주소와, 공시지가, 공시지가 기준월을 표시했지만, 아래 처럼 응답결과에서는 pnu, 지목 등의 정보도 함께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GeoJson 형태의 응답을 지도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코딩 강좌 > 안드로이드 앱 지도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Libre - #7 나만의 맞춤 지도 앱스토어 주소 (0) | 2022.02.21 |
---|---|
MapLibre - #6 내 위치 공시지가 확인 코딩 2편 (0) | 2022.02.16 |
MapLibre - #4 내 위치 찾기 (0) | 2022.02.10 |
MapLibre - #3 나만의 맵 앱 만들기 3편 (0) | 2022.02.09 |
MapLibre - #2 나만의 맵 앱 만들기 2편 (0) | 2022.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