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GeoJSON은 웹에서 공간정보를 표시하고 주고받을 때 많이 사용하는 표준 표기방법입니다.
GeoJSON에 대한 위키백과의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GeoJSON(지오제이슨)[2]은 위치정보를 갖는 점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개방형 공개 표준 형식이다. 이것은 JSON인 자바스그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Object Notation)을 사용하는 파일 포맷이다.[3][4]
GeoJSON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GeoJSON(지오제이슨)[2]은 위치정보를 갖는 점을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설계된 개방형 공개 표준 형식이다. 이것은 JSON인 자바스그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Object Notation)을 사
ko.wikipedia.org
이런 표기법을 손쉽게 지도를 보며 만들고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geojson.io 라는 곳인데 GeoJSON 뿐 아니라, TopoJSON, CSV, KML, WKT, Shapefile 포맷의 데이터로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해 줍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화면 왼편에는 지도, 화면 오른편에는 GeoJSON 입력/수정 창이 표시됩니다. 지도영역 왼편에 세로로 나열된 도형 입력도구로 간단하게 도형과 속성을 입력하거나 직접 GeoJSON을 입력하면 지도상에 표시됩니다.
편집한 GeoJSON을 다른 포맷으로 저장하시려면 화면 상단에 보이는 Save 메뉴에서 해당 포맷을 지정하면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GeoJSON을 다루는 여러가지 도구가 있겠지만, 가장 신속,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728x90
반응형
'공간정보 > 유용한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Libre Font Maker: 맵 폰트 변환 도구 소개 (3) | 2024.11.12 |
---|---|
Apache OpenOffice - 아파치 오픈 오피스 (0) | 2022.06.24 |
QGIS - 아파트 단지 배치도를 지도에 올려보기 (0) | 2022.01.21 |
online - 공간 도형 단순화(Simplify) 온라인 편집 도구 (0) | 2022.01.19 |
online - 좌표계 확인, 좌표 확인 및 변환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