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는 둥근데 컴퓨터, 스마트폰 화면, 지도책은 평평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수학적인 방법을 동원해 3차원의 지구를 2차원 평면에 표시해 왔습니다. 이를 지도 좌표계라고 부르고 국제적인 표준이 있습니다. 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은 EPSG(European Petroleum Survey Group)을 따릅니다.
각 나라별로 자신의 나라, 지역을 가장 왜곡없이 잘 표현할 수 있는 좌표계를 재정해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표준 좌표계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정하고 EPSG에도 등록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좌표계가 있다보니 좌표계간 변환할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GPS에서 사용하는 좌표계는 3차원 구(球, sphere)좌표를 사용하고 네비게이션, 웹 지도 좌표는 2차원 평면이기 때문에 변환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좌표변한을 간단하게 온라인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epsg.io 는 MapTiler라는 지도 제작, 온라인 서비스 업체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로그인 하면 아래 화면처럼 좌표계 정보 조회, 좌표변환, 좌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지도, 네비게이션에서 많이 사용하는 좌표계는 EPSG:5179인데, 검색하면 아래처럼 해당 좌표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좌표계를 ESRI, Geoserver, Proj4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지도에서 화면 중심좌표를 여러가지 좌표계로 확인 할 수도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GPS 좌표를 내가 원하는 좌표계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공간정보 > 유용한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Libre Font Maker: 맵 폰트 변환 도구 소개 (3) | 2024.11.12 |
---|---|
Apache OpenOffice - 아파치 오픈 오피스 (0) | 2022.06.24 |
QGIS - 아파트 단지 배치도를 지도에 올려보기 (0) | 2022.01.21 |
online - 공간 도형 단순화(Simplify) 온라인 편집 도구 (0) | 2022.01.19 |
online - GeoJSON 만들고 확인하기 (0) | 2022.01.19 |